전체 글115 [데이터베이스] Ch0 Getting Started Database Database데이터베이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함에 앞서, 개념에 대해 먼저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연관이 있는 데이터의 모임을 의미한다.이 데이터는 용량이 방대하여 주기억장치에는 저장이 불가능하여 2차 저장 장치인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야 하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분야는 일상생활에서 널리 활용된다.ex) 은행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학교의 데이터베이스 운영 데이터베이스는 구조적 데이터 및 비구조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구조적 데이터: 데이터가 비교적 엄격한 스키마(또는 구조체)에 저장/관리되는 데이터비구조적 데이터: 스키마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여도 느슨한 형태의 스키마에 저장 관리되는 데이터 2024. 10. 8. [데보션영] 9월 영전용 세미나 후기 (취준생 이야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데보션영 세미나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데보션엥에서는 매달 첫 째주 일요일에 영전용 세미나를 여는데요!9월에 있었던 세미나 내용을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총 세 분이 참여해주셨는데요1. 취준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김한성 님)2. 나의 작은 취준 이야기 (정경륜 님)3. 내 아이패드에서만 작동하던 어플이 전 세계로? (서희찬 님) 제목만 봐도 흥미로운 이야기가 많은 것 같아요 ㅎㅎ1. 취준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김한성 님SK 텔레콤의 Data & AI DevOps 팀 소속 석사(부트캠프, 코딩학원)를 해야 될까요?취준이 1~2년이 넘어가면 해보는 것도 좋다!그러나 부트캠프, 코딩학원 출신이 오히려 꼬리표가 될 수도 있다* 제품(서비.. 2024. 9. 2. [Android] 릴리즈 키 해시 뽑기 앱을 릴리즈 하면 릴리즈 키 해시 값을 별도로 넣어줘야 한다. 릴리즈 해시 키란, 앱을 배포하기 위해 생성한 릴리즈 인증서로부터 해시한 값이다.그래서 이번에 키 해시를 뽑는 방법을 간단하게 알아볼 것이다. release key hash터미널에서 키 해시 값을 뽑는 방법이다. 우선 아래 링크에서 openssl을 다운받는다.https://code.google.com/archive/p/openssl-for-windows/downloads Google Code Archive - Long-term storage for Google Code Project Hosting. code.google.com 그리고 아래 링크에서 jdk도 다운받는다.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 2024. 8. 29. [Android] aab 파일 만들기 릴리즈를 하기 위해서는 aab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그래서 aab 파일을 만드는 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려고 한다. aab 파일먼저 build에 있는 Generate Signed App Bundle / APK로 가준다. 그 다음 Android app bundle을 누른 후 Next를 누른다. 그 다음에 create new를 눌러서 키의 비밀번호를 만들어준다. 마지막으로 relase를 선택해준다. 그리고 파일이 만들어진 위치에서 aab 파일을 확인하면 된다!! 2024. 8. 25. [Android] 구글 개발자 계정 생성 및 앱 릴리즈 전 과정 (2주간 20명 비공개 테스트 진행) 구글 정책이 바뀐 후에 개발자 계정을 생성했을 경우, 별도의 비공개 테스트를 거쳐야 앱을 릴리즈할 수 있게 되었다.나는 2024년 8월 중에 개발자 계정을 생성했기에 2주간 20명 테스터와 함께 비공개 테스트를 거쳐야만 했다. 그래서 개발자 계정을 만들고, 2주간의 비공개 테스트 거쳐, 앱을 릴리즈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담아보았다. 개발자 계정 생성먼저 개발자 계정을 생성하기 위해서 Google Play Console에서 계정을 등록해줘야 한다.개인 개발자라면 개인을 선택해 준다. 그 이후에 '개발자 이름', '이메일 주소' 등 적어야 하는 것들을 적어주면 된다.그리고 결제를 해주면 끝!마지막으로 본인 확인을 진행해 준다.이때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공문서를 업로드 해야 하는데, 나는 등본을 제출했다. .. 2024. 8. 21. [데보션영] SKT 미래기술체험관 티움(T.um) 투어 후기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여름방학에 SKT에서 운영하는 티움 투어를 하고 왔습니다!! 🏙️티움이란?T.um(티움)은 SK텔레콤 을지로 본사에 자리하였으며, ICT 기술과 산업의 융합이 만들어낼 미래를 보여주는 체험형 전시관입니다.'티움'은 테크놀로지, 텔레커뮤니케이션 등의 '티(T)'와 뮤지엄(museum), 싹을 튀움 등의 '움(um)'을 결합한 이름으로, 'New ICT 기술로 미래의 싹의 튀우겠다'는 SK텔레콤의 철학을 담고 있다고 해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https://www.sktelecom.com/view/advertise/tum.do SK telecom www.sktelecom.com ⭐️티움 투어 후기저는 데보션영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따로 예약없이 바로 이.. 2024. 8. 18. [Android] Dokka 문서화 총 정리 (+with 자동 배포) 내가 참여했던 프로젝트 에서 컴포넌트를 모아둔 파일을 문서화하기로 하였다.그래서 문서화를 하기 위해 노션, 깃허브 위키 등 다양한 방법을 떠올렸다.하지만 위의 방법들은 매번 글을 쓰며 관리를 해줘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이에 반해 주석만 달아도 자동으로 배포되는 기능이 있어, 이를 도입하고자 했다.바로, Dokka이다. Dokka란, Kotlin 코드를 문서화하기 위한 툴이다.KDoc 언어로 작성하면 된다. Dokka 사용먼저, Dokka를 사용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준다.[versions]dokka = "1.9.0"[plugins]dokka = {id = "org.jetbrains.dokka", version.ref = "dokka"} 이를 project 그래들 파일에 추가해준다.plugins .. 2024. 8. 12. [Android] 카카오 소셜 로그인 구현하기 (Kakao SDK) 프로젝트 에서 나는 온보딩 구현을 담당했다.온보딩에서는 크게 소셜 로그인과 필터링 설정 기능이 들어가 있다. 그 중, 소셜 로그인은 카카오 소셜 로그인으로 구현했다. 그래서 내가 카카오 소셜 로그인을 했던 과정을 전부 설명하도록 하겠다. 카카오 애플리케이션 등록먼저 Kakao Developers에 접속한다.https://developers.kakao.com/ Kakao Developers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developers.kakao.com 로그인 후,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들어가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해준다. 이때 뜨는 창에서 프로젝트의 아이콘과 이름을 작성해주면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된다... 2024. 7. 6. [Android] 멀티 모듈로 프로젝트 초기세팅하기 (VersionCatalog, KSP) 이번에 리드 안드로이드 개발자로 참여한 에서 프로젝트 초기세팅을 담당하게 되었다.그래서 나는 Clean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멀티 모듈을 사용해 프로젝트를 세팅하고자 했다.그 과정을 이제부터 소개하겠다. Multi Module멀티 모듈이란, 말 그대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독립적인 모듈(Module)로 나누어 개발하는 방식을 말한다.멀티 모듈을 사용하면 각 모듈마다 기능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개발하기 용이하다. 더불어 각 모듈에 대한 의존성 분리도 명확해지기 때문에 이를 도입하고자 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멀티 모듈을 만드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다.아래 루트를 따라서 클릭해주면 된다.app 모듈 우클릭 > New > Module각 모듈마다 알맞는 템플릿을 선택해 준다.. 2024. 7. 1. [Cloud Native] Ch2 클라우드 네이티브 패턴 및 기술 📚 을 읽고 그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 Cloud Native앞으로 서로 다른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예정이다.그래서 Cloud-Native-Spring이라는 레포지토리를 통해 코드를 저장하고자 한다.https://github.com/leeeyubin/Cloud-Native-Spring 파일을 생성했으면 터미널 창을 열어 그래들 test 작업을 실행한다../gradlew test 애플리케이션 구현이 끝났으므로 이제 실행할 수 있다.이제 스프링 부트의 그래들 플러그인이 제공하는 bootRun을 사용해보자../gradlew bootRun 위의 명령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즉시 실행되고 요청을 수락할 준비가 되었다. 어떤 클라우드 인프라로도 배포할 수 있으려면 먼저 컨테이너화해야 한다. .. 2024. 6. 30. [데보션영] DEVOCEAN YOUNG 3기 합격 및 발대식 후기 "테크 인플루언서"한 때 저의 목표 중 하나였습니다. 기술적인 부분에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작은 마음에서 시작되어 찾다보니 데보션영이라는 단체를 알게 되었고 저는 망설임 없이 지원했습니다. 지원 과정지원 과정은 크게 '서류 전형'과 '영상 전형'이 있었어요. 서류 전형에서는 크게 자기소개와 지원동기에 대해 물어보았어요.저는 그동안 제가 살아온 인생을 축약해서 작성했고, 그간 프로젝트를 하며 느낀 바를 진솔하게 담았습니다. 영상 전형에서는 '내가 꼭 데보션영이 되어야 하는 이유'를 주제로 1분 이내의 영상을 제출하는 것이었어요.저의 강점을 잘 살려서 촬영 및 편집을 진행했던 것 같아요.결과는 최종 합격!!추후에 들어보니 데보션영 3기에 합격하기까지 경쟁률이 .. 2024. 6. 28. [Cloud Native] Ch1 클라우드 네이티브 소개 📚 을 읽고 그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 Cloud Native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면서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고도로 분산되어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는 3가지 P가 있다.플랫폼: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같은 동적 분산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에서 실행된다.속성: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확장 가능하고 느슨하게 결합되며 복원력이 뛰어나고 관리가 용이하며 관찰 가능하도록 설계된다.실행: 견고한 자동화를 통해 빈번하고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시스템을 변경하는 것이 여기에 포함되는데 자동화, 지속적 전달, 데브옵스 등이 있다.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중점적으로 보기 전에 이것.. 2024. 6. 16.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