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tudy3 [객사오] 코드로 알아보는 객체의 "역할, 책임, 협력"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객체지향 공부를 하기 위해 를 읽기 시작했다.책의 내용을 무작정 정리하기 보다는, 내가 이 책을 읽고 더 공부하고 싶은 부분을 직접 딥다이브 해 볼 생각이다. 이번에 읽은 챕터는 [01.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로 객체지향의 본질에 대해 파고든다. 객체지향적으로 잘 짠 코드는 무엇일까?객체는 충분히 '협력적'이어야 한다. 다른 객체의 요청에 충실히 응답하고, 다른 객체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객체가 충분히 '자율적'이어야 한다. 본인 스스로의 원칙에 따라 어떤 일을 하거나 자기 스스로 통제하여 절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객체의 자율성'에 대해 보충 설명을 하자면, 객체의 내부와 외부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다.객체의 사적인 부분은 객체 스스로 .. 2025. 3. 16. [CS] 기초지식 총 정리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누군가 나에게 개발자 이상형이 있냐고 물었을 때 망설임 없이 'CS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고 답했다.내가 되고 싶은 이상향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번에는 3년 동안 학교에서 배웠던 CS 지식을 복습겸 스스로 정리해보고 싶어서 글을 쓰게 되었다. (중간중간 내가 재학 당시 공부했던 내용을 추가로 첨부했다.)앞으로 각 주제마다 심화로 더 공부할 예정이다.🔥 I. 네트워크네트워크란, 컴퓨터들이 통신망을 통해 서로 그물처럼 연결돼 있는 것을 의미한다. 📍IP 주소첫 번째로 알아볼 개념은 IP 주소이다.IP 주소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컴퓨터를 구분하는 유일한 주소를 의미한다.이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하고 응답을 받을 때 서로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IP 주소는 4byte로 이루.. 2025. 2. 7. [C++] 템플릿(Template) 함수 템플릿 int Add(int num1, int num2){ return num1+num2; } 위 함수의 기능과 자료형은 다음과 같다. 함수의 기능 덧셈 대상 자료형 int형 데이터 이러한 함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템플릿(모형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template T Add(T num1, T num2){ return num1+num2; } 이를 앞서 정의한 Add함수와 비교해 보면, int형 선언을 T로 대신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자료형을 결정짓지 않은, 그래서 나중에 T를 대신해서 실제 자료형을 결정하겠다는 뜻이다. 함수의 기능 덧셈 대상 자료형 결정되어 있지 않음 위 코드에서 첫 번째 문장은 T라는 이름을 이용해서 아래의 함수를 템플릿으로 정의한다는 의미이다. 그럼 템플릿을 활용한.. 2023. 5. 27. 이전 1 다음